계획적이고 합리적으로 일 처리를 하려고 하나 잘 안되고, 기억에 의존하거나 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과묵한 편이고 뚝심이 있지만, 현실적이며 겁이 많기도 하다. 게으른 사람을 제일 싫어한다.
태음인에게 좋은 음식
태음인은 콩, 땅콩, 호두, 잣, 밤, 은행, 도라지, 살구, 매실, 호박, 연어 , 쇠고기 등이 좋으며, 우리 전통음식의 나물류나 전류 혹은 담백한 콩음식, 쇠고기 음식, 잡곡밥 등은 매우 훌륭한 태음인 식단이 될 수 있다.
배즙이나 도라지차, 매실차, 율무차, 칡차 등은 모두 태음인의 약한 기관지나 장에 도움이 되는 차들이다.
태음인의 심신 섭생법
태음인은 천성인 희성(喜性 -서로 도우려는 마음가짐)을 널리 펼치고 락정( 樂情-나만 보호 받기를 즐거워하는 감정)의 감정을 조심해서, 기운이 하강(음성화)하는 현상을 억제하고 평소 외부 일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여야 한다.
평소 건강조건으로 전신에 땀이 고루 잘 나면 건강하지만, 땀이 잘 나오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등이나 목덜미에만 땀이 나고 안면이나 손 발에 땀이 없으면 좋지 않다. 태음인의 병은 조(燥)로 인한 것이므로 발산(發散)이나 통변(通便)이 치료요령이다. 한편 식사를 많이 하는데 비해 활동이 적어서 비만해지기 쉽다. 항상 움직이고 땀을 흘리게 하여 비만해지지 않고 변비를 막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