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상단으로 이동

함께 더하는 미래 같이 나누는 강서 강서보건소

검색영역

공지/새소식

빈대 예방 및 관리
2023-11-01 조회수 1,195
작성자 보건행정과

1. 빈대의 정의

  빈대는 5~6의 납작한 곤충으로 감염병을 옮기지 않으나, 주로 야간에 사람이나 동물의 혈액을 빨아 먹으며 흡혈 부위에 붉은 반점, 가려움증이 발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하는 습성으로 수면방해를 유발


2. 빈대의 습성

  - 야행성 곤충으로 저녁보다는 이른 새벽(3~4)에 더 활발히 활동

  - 빈대는 납작한 몸체로 작은 틈 공간에도 들어갈 수 있고 피를 먹지 않고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음

  - 침대와 같이 사람들이 자는 위치와 가까운 곳이나 근처에서 서식하며 흡혈할 때만 잠시 나타나고  흡혈 후 어두운 곳에 숨음

  - 빈대는 1주일에 약 1~2회로 약 10분간 몸무게의 약2.5배의 피를 흡혈하며 섭취한 피의 수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내보내는 반 액체성분의 배설물은 특유의 냄새가 남

      ※배설물의 냄새는 노린내 또는 곰팡이 같은 냄새가 남


3. 빈대 발견 방

 ○ 빈대를 직접 보거나 빈대의 탈피 흔적 등 빈대의 부산물과 배설물을 보거나 배설물의 냄새 확인

  - 침대의 스프링이나 프레임, 매트리스, 소파 등

  - 침대 근처 테이블이나 서랍장 뒷면, 침대 아래

  - 걸레받이 틈이나 카펫 

  - 벽과 바닥의 갈라진 틈, 콘센트 내부

  - 방의 벽과 천장, 커튼레일 부분


4. ​방제방법: 중요지점에 대한 살충과 청결과 위생, 예방 등을 포함하여 실시

  - 오염된 매트릭스, 가구 등은 방제 후 재사용 여부 판단(모든 빈대가 제거될 때까지 커버 유지)

  - 오염된 물품 폐기 시 반드시 방제 후 폐기

  - 방제 후 정기적으로 빈대 유무 확인하여 빈대가 발견되면 추가로 방제

    (추가로 방제 시 서식처가 깊숙한 경우가 많아 세심한 방제 필요)

      ※ 알이 부화하는 시기를 고려하여 14일 후에 서식처 주변을 재확인​

  - 다가구, 숙박업소 등 오염장소와 오염장소 주변을 동시에 방제


살충

  - 주로 침실에서 빈대가 서식하여 잔류 분무법이 효과적

  - 피레트린 및 피레스로이드계나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살충제를 통한 방제

  - 침실 내 벽 틈, 문과 창문 틈, 가구 틈, 침대 등 집중 분무

      (매트리스, 침대 라인과 같이 신체 접촉하는 부분은 제외)

  - 가열 연막 또는 훈증은 효과가 작으며 다른 곳으로 도망칠 수 있어 자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서울PCC 빈대살충제주의사항(최종) 앞면.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0pixel, 세로 3840pixel

사진 찍은 날짜: 

카메라 제조 업체 : www.mangoboard.net

카메라 모델 : 32240224-1

프로그램 이름 : mangoboard.net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서울PCC 빈대살충제주의사항(최종) 뒷면.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0pixel, 세로 3840pixel

사진 찍은 날짜: 

카메라 제조 업체 : www.mangoboard.net

카메라 모델 : 32240224-2

프로그램 이름 : mangoboard.net

 ▢ 청결과 위생

 ○ 환경관리
  - 침실 및 침대 주변의 물건 정리하여 빈대 은신처 제거

  - 벽이나 바닥의 균열, 문 몰딩, 걸레받이, 벽면 콘센트, 벽지 등 보수 수리

  -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침대, 매트리스, 소파, 가구, 벽지 등 실내공간 청소하며 청소 종료 후 필터를

     비닐 봉투에 밀봉하여 즉시 폐기


 ○ 위생관리

  - 오염된 의류, 커튼, 침대 커버, 침구류 등 세탁 후 건조기에 50~6030분 이상 건조

  - 스팀청소기로 빈대가 서식하는 가구나 벽의 틈 사이 고열을 분사하여 방제

  - 카펫 등은 살충제 처리 전 스팀으로 먼저 청소

  - 벽에 맞닿아 있거나, 침대 머리맡 부분에 맞닿아 있는 카펫 등은 반드시 방제


예방

  - 빈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품을 함부로 가정으로 가져오지 말아야 함

      (해외에서 직배송된 상품 포장 박스, 수입용 중고 가구, 침구)

  - 해외 여행자의 옷, 여행물품에 빈대나 빈대의 흔적 등 주의 깊게 확인

  - 집 내부에 손상된 부분을 수리하고 집 청소를 통해 빈대 은신처 줄이기

  - 여행 중 빈대에 물린 경험이 있다면 여행 종료 후 여행 물품을 철저히 소독

      (의류 등은 건조기에 처리, 이외 물품은 밀봉하여 장시간 보관)


 

 

5. 빈대 관련 정보

 

  ① 서울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 빈대":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57157

 

 

  ② 서울시 빈대 예방 및 관리 안내서 제2판: https://ebook.seoul.go.kr/Viewer/JYZOX6OKYN0U?tr_code=short


  ③ 질병관리청 "빈대 정보집":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3050000&bid=0021&act=view&list_no=723828

 

 

  ④ 질병관리청 ​"해외여행 후 집에서 꼭 해야할 예방수칙": 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b_list=9&act=view&list_no=146394&nPage=1&vlist_no_npage=1&keyField=&keyWord=빈대&orderby=


 ⑤ 질병관리청 빈대정보집(영상):​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30300&bid=0004&act=view&list_no=146343

 

 ⑥ ebs 극한직업(7분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RXm6KOjNM5o

 

 ⑦ ebs 빈대의 생활사: https://www.youtube.com/watch?v=OSMmqt1fQwE

 

6.문의처

 ① 강서구보건소 보건행정과: 02-2600-5930, 5957, 1121

 ② 한국방역협회: 02-467-7630, https://ikpca.co.kr

 

 

 

첨부파일
서울강서구청 채널추가 서울강서구청 공식채널입니다. 채널추가하고 강서구 소식받으세요!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