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새소식
성홍열 예방 안내
2005-07-21
조회수 4,038
작성자
보건행정과
<<< 성홍열 예방 안내 >>
□ 병원체 : A군 β-용혈성 연쇄구균
□ 전파양식
ㅇ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감염 (비강 보균자는 유행의 원인이 됨)
ㅇ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환자 혹은 보균자와 접촉하여 감염
ㅇ 드물게는 오염된 우유, 아이스크림 등 음식물을 통해서 전파될 수도 있음
□ 잠복기 : 1~7일
□ 증상
ㅇ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및 인후염
ㅇ 12~48시간 후에 전형적인 발진
ㅇ 인후는 심하게 충혈되어 연구개와 목젖위에 출혈반점이 나타나고
ㅇ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농성 삼출액이 덮혀 있는 수도 있으며
ㅇ 림프절이 부어있는 경우가 많다.
ㅇ 혀는 처음에는 회백색으로 덮이고(white strawberry tongue) 유두(papillae)가 부어 붉은 딸기모양이 된다(red strawberry tongue)
□ 진단 및 치료
ㅇ 인후 배양검사 및 혈액검사
□ 예방법
ㅇ 외출후 반드시 손발을 씻고 양치질하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
ㅇ 환자는 치료개시와 함께 하루동안 호흡기 격리하여야 함
ㅇ 환자의 화농성 분비물 및 오염된 물건은 소독처리
□ 병원체 : A군 β-용혈성 연쇄구균
□ 전파양식
ㅇ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감염 (비강 보균자는 유행의 원인이 됨)
ㅇ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환자 혹은 보균자와 접촉하여 감염
ㅇ 드물게는 오염된 우유, 아이스크림 등 음식물을 통해서 전파될 수도 있음
□ 잠복기 : 1~7일
□ 증상
ㅇ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및 인후염
ㅇ 12~48시간 후에 전형적인 발진
ㅇ 인후는 심하게 충혈되어 연구개와 목젖위에 출혈반점이 나타나고
ㅇ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농성 삼출액이 덮혀 있는 수도 있으며
ㅇ 림프절이 부어있는 경우가 많다.
ㅇ 혀는 처음에는 회백색으로 덮이고(white strawberry tongue) 유두(papillae)가 부어 붉은 딸기모양이 된다(red strawberry tongue)
□ 진단 및 치료
ㅇ 인후 배양검사 및 혈액검사
□ 예방법
ㅇ 외출후 반드시 손발을 씻고 양치질하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
ㅇ 환자는 치료개시와 함께 하루동안 호흡기 격리하여야 함
ㅇ 환자의 화농성 분비물 및 오염된 물건은 소독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