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미타사 석불 입상 (彌陀寺 石佛立像)
Standing Stone Buddha of Mitasa Temple이 불상은 현재 강서구 미타사 경내에 안치되어 있는 석불입상으로 총고(總高)약 4m에 달한다. 예전에는 현 요사채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에 있었
던 작은 전각 안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사찰 경내에 모셔져 있다.불상은 두툼한 돌을 이용하여 앞·뒷면을 모두 조각하였는데 앞에서 보면
평면적인 느낌을 주지만 측면에서 보면 제법 묵중한 느낌을 준다. 머리에는 반원형의 장식이 올려진 보개형 보관(屋蓋形 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
관의 아랫부분은 약간의 홈을 파서 불상의 머리부분과 맞도록 한 것으로 보아 원래부터 보관을 쓰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얼굴은 둥글면서도 평
면적으로, 눈과 입은 얕게 음각되었으나 코는 오똑한 편이다. 두 귀는 어깨까지 길게 늘어지는 등 매우 형식화되었다.불신(佛身)은 평면적으로 조각되었는데, 얼굴에 비하여 어깨폭이 좁고 각지게 표현되어 강직한 느낌을 준다. 목은 두터우면서도 둔중한데 얕게 삼
도(三道)를 음각하였다. 몸에는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를 걸쳤으나 왼쪽 어깨 위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사선의 굵은 옷주름이 입체감 있게
표현되어 마치 우견편단처럼 보인다. 하체에는 넓은 U자형의 옷주름이 무릎 아래까지 늘어졌다. 뒷면에도 옷주름이 조각되어 있어 신체 전면에 걸
쳐 넓고 입체감 있는 옷주름이 온 몸을 감싸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가슴 앞에는 오른손을 아래에, 왼손을 위로 하여 서로 포개고 있는데, 무엇인가
를 쥐었던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는 아무런 지물도 들고 있지 않다. 얼굴과 신체 등이 모두 평면적이면서도 간략하게 조각된데 비하여 손가락은
유난히 크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얼굴이 크고 괴체적인 신체표현과 생략화된 세부표현, 옥개형의 보관 등에서 고려시대 거불(巨佛)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보존상태도 양호하고 서울지역에 많지 않은 고려말-조선초 석불이라는 점에서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