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상단으로 이동

변화로 만드는 미래 구민과 도약하는 강서 - 강서문화관광

검색영역

국가유산

강서구에는 국가지정유산 7개(보물5/사적1/등록문화유산1)와 서울시지정유산 8개(유형문화유산4, 시기념물1, 자연유산1, 무형유산1, 문화유산자료1)로 총 15개가 있으며, 전통사찰, 정자 등 많은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는 전통 있는 도시입니다.

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

지정번호 보물 제672호
지정일자 1980년 8월 23일
관리자 개인소장
시대 조선시대
  • 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 (金德遠墓 出土 衣服 一括)

    Cloth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m Deok-won

     

     

    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金德遠墓 出土 衣服 一括)은 조선후기의 문신인 김덕원(1634∼1704)의 묘에서 출토된 유품들이다. 그는 효종 5년
    (1654) 진사, 현종 3년(1662)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후 형조판서, 예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을 지냈으며 숙종 17년(1691)에는 영중추부사를 지냈다. 출토된 유물에는 운문단 상복 2점, 운문단
    철릭 1점, 소색중치막 1점, 누비직령포 1점, 아자문주저고리 1점, 명주 겹광포 1점, 명주유상 1점 등이 있다.

     

    상복(商服)이란 평소에 입는 옷이다. 출토된 유물은 구름무늬모양과 칠보(七寶)무늬를 표현한 비단에 둥근 깃을 한 단령으로, 안에는 곧은 깃
    의 직령을 받쳐입게 되어 있다. 운문단 철릭은 구름모양과 칠보무늬의 어두운 갈색 천에 허리아래 양쪽이 트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철릭은

    원래 단령 밑에 입는 받침옷으로, 다른 말로 첩리, 철릭이라고도 한다.

     

    중치막은 곧은 깃에 소매는 넓고 겨드랑이 아래 덧 댄 무가 없으며 옆트임이 겨드랑이부터 있는 옷이다. 소색중치막은 지금의 두루마기와 같
    은 흰색 명주의 남자용 겉옷으로 뒷중심이 트여있으며 소매가 넓다. 직령포는 녹색으로 깃이 직선이며 안에 솜을 두고 2㎝간격으로 누볐다.
    아자문주저고리는 아(亞)자 무늬의 명주저고리이며, 명주겹광포는 무색 명주에 솜을 얇게 두고 누빈 바지이다. 이 밖에도 소색명주창의, 명주
    누비창의, 반수의 등이 있다.

     

    김덕원 장군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보존 상태가 좋고 매우 다양하여, 당시의 생활을 두루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식사의 체계를 세
    우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서울강서구청 채널추가 서울강서구청 공식채널입니다. 채널추가하고 강서구 소식받으세요!
자료관리담당
문화예술과
문의전화
02-2600-6456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