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계 유해폐기물 배출 방법
생활계 유해폐기물이란?
- 생활폐기물 중 질병 유발 및 신체 손상 등 인간의 건강과 주변환경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폐기물
- 종류: 폐농약, 폐의약품,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 폐페인트 등
생활계 유해폐기물 처리방법
폐기물 종류 | 처리 조건 | 처리 방법 | 비고 |
---|---|---|---|
폐농약 | 용기째 밀봉 | 인근 주민센터로 직접 운반 | 빈농약용기는 ‘영농폐기물 배출방법’ 참고 |
폐페인트 등 7종 | 폐페인트, 폐유, 폐유기용제, 폐락카, 폐흡착제, 폐촉매, 폐흡수제 | 소량폐기물 처리서비스 사용 | 서울남부: 성림유화(주) (안내문 참고) |
수은함유폐기물 | 포장방법 참고 | 인근 주민센터로 직접 운반 (손상 주의) |
포장 박스에 배출정보 필히 부착 |
소량 의료폐기물 및 생활화학제품 |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 | 종량제 봉투 | 「분리배출 가이드라인」및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 참고 |
소량폐기물 처리서비스 접수방법
- 소량폐기물 처리서비스 안내문 참고(★ 안내문(링크))
수은함유폐기물 포장방법
순서 | 포장 방법 | 비고 |
---|---|---|
1 | 작업 공간에 바닥재 설치 | 결함 및 파손에 의한 유출 방지 |
2 | 포장용 상자와 2차 포장재 준비 | 과대포장하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 사용 |
3 | 수은함유폐기물 1차 포장 (포장재: 폴리에틸렌 등 고밀도 내수성 재질) |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봉 |
4 | 수은함유폐기물 완충재로 포장 | - |
5 | 수은함유폐기물 2차 포장 (포장재: 폴리에틸렌 등 고밀도 내수성 재질) |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을 정도로 밀봉 |
6 | 이격이 없도록 상자에 완충재를 채우고 최종 밀봉 | 에어캡 또는 신문지 등 사용 |
7 | 배출정보 및 위험 표시 등 부착 | 첨부 양식 참고 |
- ※ 자세한 포장방법 및 배출정보 부착 양식은 ‘수은함유폐기물 포장 방법(링크)’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