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란?
과거의 잘못된 행적을 솔직히 반성하며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구체적 약속을 공개적인 방식으로 책임성을 담아 문서로써 선언하는 것으로
매니페스토운동은 더 이상 거짓말하지 말라는 경고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따뜻한 약속과 용기 있는 실천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성숙한 민주시민운동입니다.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16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었고, 이 단어를 오늘날 우리사회가 쓰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의 매니페스토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5월, 4대 지방선거를 계기로 후보자들의 공약이 구체성을 띠고 있으며, 실현 가능한 ‘제대로 된 공약’인지 여부로 평가하는
매니페스토 운동이 시민단체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한국형 매니페스토 운동은 중립적인 입장에 서서 출마자의 과거 행적을 살펴보고 그의 미래 계획을 검증해 보면서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거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당선자의 약속이행 여부를 스스로 발표하게 하고 유권자들과 함께 꼼꼼히 따져보며 다음 선거에서 선택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 개념은 1834년 영국 보수당 당수인 로버트 필이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공약은 결국 실패하기 마련'이라면서 구체화된 공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997년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가 매니페스토 10대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 집권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미국의 매니페스토
미국은 신용을 중요시 하는 사회로 상호 계약을 합리적 토론을 통해 문서화하고 상호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때는 사회적 질타를 받아 매니페스토 운동이 정착되기에 가장 좋은 환경입니다. 미국은 당원들이 참여하는 지방의 정당대회(코커스)에서 인물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현안을 풀어가는 방향과 정책에 대한 당원들의 치열한 토론을 통해 인물과 함께 당의 정책을 동시에 선택합니다.
일본의 매니페스토
일본에서는 선거 전 매니페스토의 배포가 공직선거법상 금지되다가 2003년 법이 개정됨에 따라 보궐선거를 제외한 국정선거에서는 정당이 매니페스토를 선거기간 중에 배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후보자와 유권자가 ‘부탁’이 아닌 ‘약속’과 ‘계약’으로 맺어지는 새로운 선거 문화가 정착되고 있으며, 지난 2009년 총선에서 매니페스토를 통해 54년 만에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뤄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