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강서 변화로 만드는 미래 구민과 도약하는 강서

검색영역

마을공동체 소개

마을공동체란 골목이 놀이터고 옆집 아줌마가 이모가 되어 아이를 돌보고, 나눔과 협력이 자연스레 이루어지면서 이웃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그 곳이 마을이라는 이름의 공동체입니다. 주민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존중되며 상호 대등한 관계 속에서 마을에 관한 일을 주민이 결정하고 추진하는 주민차지 공동체
                            구성원 간 심리적, 정신적 일체감과 동질성을 기반으로 경제, 문화, 복지, 환경 등을 토대로 연결된 사람들의 관계망, 마을카페 함께 모여,공동육아 함께 기르고, 마을생협 함께 먹거리를 찾아보고, 마을기업 함께 일거리를 마련하여, 마을미디어 함께 소식을 나누고, 마을축제 함께 즐긴다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란?
  • 인간관계망 형성에 중점을 두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마을주민들이 함께 스스로 나서 경제, 문화, 복지,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펼치는 종합적인 활동을 뜻합니다.
살기 좋은 마을 공동체 회복, 주체:주민스스로, 태동: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내용:경제,문화,복지등의 분야에서, 방식:공동으로 추진하는 다양한 활동 혹은 사업, 마을사업 제안 계획수립 실행 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주민주도로 시행
마을공동체 사업의 유형
  • 생태
  • 육아
  • 복지
  • 경제
    • 공동주택(아파트) 지역
      단지 내 축제·봉사
      공동육아방
      작은 도서관 운영
      아파트 소식지
      단지 텃밭 가꾸기
      마을미디어 사업
      농·수산물 공동구매
    • 단독주택지역
      공동체 돌봄센터
      주차장 조성
      담장허물기
      집수리 사업
      마을 텃밭 가꾸기
      벽화 그리기, 쉼터 조성
      골목가꾸기 사업
    • 상가지역
      공동마케팅
      • - 공동구매, 공동유통망 조성
      지역명소 만들기
      상가축제
      공동브랜드 개발상가 환경개선
    마을공동체 발전단계 및 지원절차
    씨앗마을:커뮤니티 형성이 미약한 마을(주민모임 활성화,마을사업 발굴,마을일꾼 양성교육) ->사업안내->주민의 지원신청->현장상담->주민교육->마을사업 발굴등(마을공동체 지원사업 내용,절차 등에 대한 안내,수시로 사업제안,주민교육등 지원요청 가능,주민교육,마을일꾼 양성을 통한 마을사업 발굴지원) > 새싹마을:커뮤니티 기반이 형성된 마을(컨설팅 계획수립 지원 등 발굴사업 구체화(1~2개 사업추진 지원),주민교육,마을 일꾼 양성교육,마을 활동 후원그룹 형성 및 연계지원) > 희망마을: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한 마을(보육,문화,경제,환경 등 다양한 마을사업 실현,지속성 확보를 위해 주민교육 및 새로운 사업 발굴 지원) -> 사업신청 ->현장조사 및 선정->사업실행 계획수립->사업비 지원->사업실행 및 정산(주민의 추진의지,마을사업의 필요성 등 현장조사 결과 위주로 심사,서면계획보다는 현장의 주민 수요를 고려하여 지원,실행과정 컨설팅,사업규모에 따라 정산시기와 절차 결정)
    우리가 꿈꾸는 마을공동체
    스스로 가꾸는 주민자치, 행복한 마을공동체
    이웃과 가족처럼 가깝게 지내며 슬프거나 기쁜 일을 함께 나누는 마을, 저녁이면 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를 주고받는 마을, 살면서 꼭 필요한 것들을 이웃과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모아 주민이 직접 만들어 나가는 마을, 이를 위해 우리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면서도 개인의 이익을 양보할 줄 알고, 서로 협력하며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우러지는 마을공동체를 꿈꿉니다.
    마을공동체로 가는 다양한 방법
    • 1동호회 놀면서 마을을 만들다
      • 동호회
      • 마을축제
      • 공동연습실
      • 마을극장
    • 2상자텃밭으로 만드는 녹색마을
      • 상자텃밭
      • 밥상모임
      • 옥상텃밭
      • 마을장터
      • 마을기업
    • 3우리 마을이 내 아이를 키운다
      • 공동육아
      • 대안학교
      • 주민모임 활성화
      • 마을축제
    • 4커뮤니티 카페, 우리동네 사랑방
      • 커뮤니티 카페
      • 다양한 문화교실
      • 주민모임 활성화
      • 마을기업 등 영역확장
    마을공동체 사업관련 연락처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강서구 마을자치센터
    강서구청 마을공동체지원팀
    • 전화 : 02-2600-6441, 6039, 6446, 6596
    자료관리담당
    자치행정과
    문의전화
    02-2600-6596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